NDSL 407,224 전체보기
[국내 학위논문]
본 박사학위 논문은 이산 다전극을 이용한 전압분배 모드별 감쇠력 조절이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전단모드 및 유동모드 ER댐퍼를 제안 하였다. 이산 다전극 ER댐퍼의 기초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두가지 유형의 ER댐퍼를 실제 ER댐퍼와 상사되는 모델을 제작하였다. 전극길이 및 전압분배 모드별에서의 ER입자 클러스터 거동 가시화 실험과 압력측정을 통하여 이산 다전극 ER댐퍼로서의 감쇠력 가변 특성을 살펴보았다. 기초실험을 통해서 최적의 전극길이를 선정하였고, 이를 통해 실제 이산 다전극 ER댐퍼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산 다전극 ER댐퍼의 전압분배 모드별 감쇠력를 평가하기 위해서 성능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산 다전극 ER댐퍼의 전압분배에 따른 감쇠력을 1/4차량에 적용하여 진동감쇠효과를 AMESim을 통하여 수동과 능동 스카이-훅 제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과 향후 발전과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이산 다전극을 통한 전단모드 및 유동모드에서의 전극길이와 전압분배 모드에 따른 새로운 ER특성들을 파악하였다. (2) 이산 다전극을 이용한 전극길이별, 전압분배 모드별 실험을 통해서 기존의 단일 전극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감쇠 특성이 나타남이 판명되었다. (3)전단모드 이산 다전극 ER댐퍼를 통한 실험에서 전압모드에 따른 가진시 , 인장시 그리고 압축시의 감쇠력 차이로 인해 플랜트가 필요로 하는 감쇠력을 전압분배 모드를 통해서 감쇠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4)유동모드 이산 다전극 ER댐퍼를 통한 전압모드별 실험과 시뮬레이션에서는 ER유체의 유동변화에 따른 감쇠력을 다접점 순차전극의 전압분배 모드를 통해 조절 가능함이 판명되었다. (5)이산 다전극을 이용한 새로운 ER댐퍼의 전압분배 모드를 통해서 플랜트가 필요로 하는 감쇠력을 미리 조절하여 지정하면 제어기가 필요없는 순차제어가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6)개발된 새로운 구조의 ER댐퍼를 1/4차량에 적용하여 수동과 능동 스카이훅 제어 효과를 AMESim을 통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진동감쇠효과 및 희망 출력값을 잘 따라 감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발전과제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접점 순차전극 ER댐퍼를 통한 전압분배 모드별 감쇠효과를 이용하여 실제 시스템에서의 다양한 전극길이와 전압모드별 구성으로 제어기 없이 플랜트의 변위 및 속도에 따라 감쇠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개발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국내 학위논문]
ER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 전기점성유체)는 비전도성의 절연성 오일 속에 강한 전도성의 고체 미립자를 분산시킨 현탁액이며, 전기장의 강도에 따라 유변학적 특성이 변화하는 기능성 유체이다. 전기적 신호만으로 ER유체의 유량과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응답시간이 수 내지 수십 ms 정도로 매우 빠르기 때문에 기존의 기계적 요소가 가지는 응답속도, 소음, 진동 등의 문제를 비교적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ER유체를 작동유체로 3포트 ER밸브 등의 응용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자체 조성한 분산계 ER유체의 항복전단응력을 분석하였으며, 빙햄 특성과 동일한 전기장 강도에서 ER입자의 거동을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하였다. 그리고, 3포트 ER밸브를 개발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2포트와 3포트 사각튜브를 자체 제작하고, 전극 사이를 흐르는 ER유체에 전기장의 강도를 변화 시키면서 송출 및 부하 유량을 측정하고, CCD카메라를 이용하여 유동가시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3포트 사각 튜브의 입구유량과 부하 및 송출 유량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여 3포트 ER밸브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3포트 ER밸브를 설계.제작하여 전극사이를 흐르는 ER유체에 전기장의 강도를 변화시키면서 송출유량과 부하유량 및 압력강하 특성을 고찰하였다.
[국내 학위논문]
소포체는세포에대한생리적기능을가지며이것이세포가살고죽는것을결정한다. 만약소포체의생리적기능이특정상황에서망가지게되면소포체내에접합되지않은단백질들이쌓이게된다. 이러한상황에서접합되지않은단백질들이소포체능력으로부터벗어나게되면비접합프로테인(Unfolded protein response)가일어나게된다. 이러한과정을우리는소포체스트레스(ER stress)라고하며이스트레스가가벼우면세포는살아남지만, 그반응이강하면세포는세포소멸로죽게된다. 암의운명은소포체와연관된메커니즘으로죽을지살지결정된다. 이번연구에서Chapter II는암세포에서 Chalcone과 Isovabachalcone이소포체스트레스로유도된세포사멸효과를가지고있음을보여준다. Chapter III에서는자궁근종에서의 ER stress가약하기때문에세포성장반응을가진다는것을보여준다. 이연구를통해우리는소포체의적응또는세포사멸과같은이중역할을탐구하게된다.
[국내 학위논문]
본인은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에 hSalvador와 MST2가 미치는 효과에 대해 유방암세포를 이용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는 유방암의 발달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hSalvador와 MST2 는 세포내의 Cyclin D1과 DIAP1 양을 감소시켜 세포 증식과 세포사멸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hSalvador와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 단백질간의 결합을 확인하였으며 이 같은 단백질-단백질간의 상호작용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의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hSalvador와 MST2에 의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전사활성 조절 여부를 확인한 결과 에스트로젠 수용체 전사활성이 hSalvador와 MST2에 의해 증가하였고 에스트로젠 존재 시 더욱 증가하였다. hSalvador에 의해 증가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전사활성에 hSalvador의 C-말단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Salvador와 MST2는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단백질 양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세포증식과 사멸은 정상세포뿐 아니라 암세포에 중요한 과정이며, 세포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hSalvador와 MST2가 유방암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발현을 조절함을 밝힘으로써 유방암세포의 조절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국내논문]
For increasing the yield stress of ER fluids, the compressing ER electrode was developed and the compressing electrorheological (ER) behavior of anhydrous ER fluids in silicone oil of phosphorous ester cellulose powder was investigated. Under constant electric field, not only the current density but also the yield stress of anhydrous ER fluids were studied as varying the compressing length of ER electrode distanc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ompressing of ER electrode had a large influence to the ER properties of anhydrous ER fluids. The current density was proportional to the compressing length of ER electrode under constant electric field and volume fraction also tile compressing yield stress was proportional to the volume fraction of dispersed particles under constant electric field and compressing length. When the ER electrode was compressed with 150mm after charging the electric field, 4 kV, tile yield stress of phosphoric ester cellulose ER fluids increased to thirteen times comparing with the yield stress measured at normal electrode.
Filters
보기형식
정렬순서
포맷
리스트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