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섬네일 0page
브랜드 정보
학지사 뉴논문
고급 논문을 제공하는 학지사 뉴논문은 전문 학업 분야에 최고의 자료를 보장하며
각종 연구 사례와 미래 분석 등의 자료를 통해 인문학, 사회 자연과학 분야의 깊이 있는 탐색을 할 수 있게 도와드리겠습니다.
판매자료 수 : 32,704
연관 추천서식
본문 내용
    현대의 박물관은 과거의 골동품 보관창고의 개념에서 벗어나 인류 역사의 살아 있는 교육장
    으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최근에 들어와서 박물관의 개념이나 영역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박물관을 통하여 우리는 제도화된 교실에서는 얻을 수 없는 인류문화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 그리고 미래역사의 청사진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박물관에는 인류와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계된 많은 양의 물질적인 자료가 축적되어 있고 앞으로도 그렇게 되어 갈 것
    이다.
    근래 우리나라에도 박물관의 신설이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각종 박물관이 수적(단위)으로,
    양적(공간)으로1 또 질적(내용)으로 늘어나는 것은 당연히 찬사를 보내야 하고 그렇게 되어야
    할 일이다. 비록 늦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그러한 경향은 ~}츰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박
    물관의 외형적 숫자가 늘어나는 사실은 우리 모두가 축하해야 할 일이겠지만, 그러나 펼연적
    으로 그 내용만은 체계적으로 정비되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의 역사나 경제규모로 볼 때, 우리에게도 이제는 주제가 분명하고 체계화된 박물관의 건립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시점이 되었
    다. 다른 나라와는 다른 우리나라 박물관 나름대로의 특성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고, 또 어떠
    한 경로로든 이미 셰워진 박물관들은 여러 가지 현실적으로 가능한 수단을 통하여 관람객에게
    친절하게 다가가는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살아나기 어렵다. 이 글에서는 여러 유
    형의 박물관 중에서 특히 ‘고고역사박물관’의 설렵이나 활성화방안에 국한해서 이야기하기로
    한다.

    In these days, the concept of museums have been changed from a fusty old image to a
    centre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for all age groups. Within a museum, people can learn
    and enjoy the human culture and history which cannot be learnt from a school and that kind
    of the human records would be continuously collected and preserved into museums.
    As the number of museum increased in Korea, it is need to be specialized those museums
    by their subjects. Museums should realize that effort to be specialized and develop user
    friendly programmes are core resources to survive.
    In this pont of view, this paper would propose a activation scheme for an archeological
    museum that
    1. Exhibition with ambience.
    2. Developing soft and interesting education programmes
    3. Emphasis on archeological and historical research
    4. Make the museum as a tourism resources
    To success those schemes, followings must be preceded that,
    1. The museum should change the way of thinking
    2. Give an effort to be specialized
    3. Marketing
    4. Support from outside of the museum, e.g. government, foundations.   (이하 생략)
TZ-SLE-1469348 고고역사박물관의 역할과 활성화방안
  • 분량
  • 조회
  • 판매가
  • 후기 평가
  • 등록자
고고역사박물관의 역할과 활성화방안 논문 자료입니다
원하는 포맷으로 다운받을 수 있어요.
  • Adobe PDF (pdf)
Chat GPT
분위기
  • 예의바른
  • 친근한
  • 사무적인
  • 단호한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고역사박물관의 개념과 범위

    Ⅲ. 고고역사박물관의 유형

    Ⅳ. 고고역사박물관의 건립추진방향: 현장박물관화

    Ⅴ. 고고역사박물관의 활성화방안

    Ⅵ. 맺음말

상세정보
    소개글 제목 : 고고역사박물관의 역할과 활성화방안 저자 : 이종선
    발행학회 : 한국박물관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useum Studies]
    발행정보 : 박물관학보 제 권 호 pp.52-60(9 pages)
    발행년도 : 2000

    저작시기 : 2000년 12월

    참고문헌 없음
저작권 정보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씽크존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 침해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씽크존에서는 아래와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의 경우에 환불 처리를 진행해드리고 있습니다.

    - 오류자료 : 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는 경우
    - 중복자료 : 기간과 무관하게 같은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
    - 유사자료 : 다운로드한 다른 자료와 내용과 구성이 동일한 경우(70% 이상)
    - 불일치 자료 : 파일 제목 및 상세 내용과 다운로드 파일 내용이 다른 경우
    - 공공자료 : 공익성을 목적으로 인터넷 공개되어 있는 자료와 동일한 경우
    - 기타 자료 : 주요 환불정책에 해당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경우
이용후기 (0)

후기를 남겨주신 회원님께 문서공유 100 point를 적립해 드립니다.

후기 작성
  • 등록된 후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