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3월 새학년도가 시작되면서 우리의 초․중등학교 도덕과교육은 교과발전면에서 한 고비를 넘은 듯하다. 그동안 1997년에 고시된 제 7차 교육과정 도덕과의 적용과 관련지어 연차적으로 시도되었던 교과서 개발에서 마지막 연도에 배정된 중3 ‘도덕’과 고등학교 선택과목 ‘시민윤리’, ‘윤리와 사상’ 및 ‘전통윤리’ 과목의 교과서 편찬이 2002년말로 끝나고 새학년도에서부터 학교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교과서 편찬을 완료한 제 7차 교육과정 도덕과교육이 앞으로 어떤 성과를 거둘지는 아직 미지수이고 또 어떤 문제점이나 개선점을 지니고 있는지도 현시점에서는 알기 어렵다. 따라서 앞으로 필요한 것은 우리가 학교 현장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덕․윤리과 교육이 교육과정 본래의 취지에 따라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는가를 면밀하게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고, 동시에 차기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미래 사회에서 대두될 수 있는 초․중․고등학교 도덕․윤리과교육의 발전과제를 끊임없이 탐색하고, 그에 따라 도덕․윤리과교육의 운영을 분석비판하고 개선하는 일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하 생략)
Ⅴ. 남북통일의 가능성이 가시화되는 추세 속에서 국가안보의식의 진작과 도덕과 담당교사의 북한 동포 재사회화 요원화
Ⅵ. 결 론
<참고문헌>
상세정보
소개글
제목 : 미래 사회에 대비한 초ㆍ중ㆍ고등학교 도덕ㆍ윤리과 교육의 발전과제
저자 : 정세구
발행학회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발행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제 권 16호 pp.27-43(17 pages)
발행년도 : 2003
저작시기 : 2003년 1월
참고문헌
없음
저작권 정보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씽크존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 침해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씽크존에서는 아래와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의 경우에 환불 처리를 진행해드리고 있습니다.
- 오류자료 : 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는 경우
- 중복자료 : 기간과 무관하게 같은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
- 유사자료 : 다운로드한 다른 자료와 내용과 구성이 동일한 경우(70% 이상)
- 불일치 자료 : 파일 제목 및 상세 내용과 다운로드 파일 내용이 다른 경우
- 공공자료 : 공익성을 목적으로 인터넷 공개되어 있는 자료와 동일한 경우
- 기타 자료 : 주요 환불정책에 해당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