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가 이 책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의도는 불과 2평짜리 구멍가게에서 출발한 이랜드가 대
기업으로 성장했다는 대기업 이랜드의 경이적인 경영성과에 대한 예찬이 아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
해 이랜드가 성취한 현재의 성공을 위해 말단 직원에서부터 회장에 이르기까지 이랜드맨들이 세상에
펼쳐보이고자 했던 '남과 다른' 생각과 '남에게 다가서는' 생활 속의 배려가 어떻게 조직적으로 구현될
수 있었는지를 확연하게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저자는 이랜드 스피릿이라는 18가지 무형적인 정신문화가 어떻게 유형적인 기업 발전에 영향을 미쳤
으며, 작용했는가를 기술함으로써 다른 기업들에게 신선한 도전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 18가지
이랜드 스피릿 중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 '남 중심적 사고방식'이며, 이것이 기초가 되어있는 이
랜드 정신은 관권과 타협하지 않는 투명성과 정직성, 고객을 위하여 존재하는 기업으로서의 진정한
상인정신, 쓰기 위해 버는 제3자본주의 정신으로 발현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이랜드가 지식경영을 실천함으로써 위기대처능력과 생산성을 높이고, 회사
내에 독서 문화를 정착시켜 직원들의 교양과 실력을 고품격으로 향상시킴으로써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창출하도록 유도하고, 그 아이디어를 회사의 경영에 도입하는 방식을 채택해서 이 무한경쟁의 글로벌
시대에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대처하는 저력 있는 기업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소개하고 있다. (이하 생략)
1장 이랜드를 지탱하는 힘, 이랜드 스피릿
1. 우리는 다르다
2. 청소하는 사장님
3. 교복 입은 이랜드맨
4. 본 깨 적, '본' 것 '깨'달은 것을 현장에 '적'용하라
5. 재능보다는 성실
6. 소비자를 기쁘게 하는 '상인정신'
7. 모든 일을 신의 눈앞에서 하는 것처럼
8. 남 중심적 사고방식
에필로그
2장 이랜드 WAY, 이랜드가 뛰어 들면 성공한다
1. 일만 이천 '지식자본가'가 이끄는 이랜드 지식회사
2. 모든 것은 가능하다
3. 4P로 보는 이랜드의 블루오션 전략
4. 여성의 잠재력을 활용하라
5. 국내는 좁다 해외로 간다
6. 털어도 먼지 안 나는 회사
7. 쓰기 위해서 버는 회사
3장 위기를 기회로
1. 허깨비와의 전쟁
2. 외환위기의 폭풍우를 뚫다
마치며
상세정보
소개글
진정한 고객감동과 남다른 창조경영을 통해 성공의 습관을
이뤄낸 이랜드식 성공 방정식이다. 저자는 18가지 이랜드
스피릿을 통해 어떻게 자기 자신을 혁신하고 개발하고 있으며, 자기개발이 회사의 경영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기술하고 있다.
이랜드 웨이를 모든 기업의 이정표로 세워 기
차기현 지음
이너북 / 2008년 7월 / 248쪽 / 11, 000원
▣ 저자 차기현
1977년 전남 여수의 바닷가 마을에서 태어났다. 여수고등학교를 마친 뒤 서울로 올라와 연세대 신문
방송학과를 졸업했다. 2005년 한국경제신문에 입사해 사회부와 생활경제부 패션 유통 담당기자로 우
리사회와 경제의 현장을 가감없이 들여다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졌다. 지금은 경제부 담당기자로
기획재정부와 지식경제부를 출입하며 정부의 경제정책을 지켜보고 있다. 이 책은 저자가 2006년 1월
부터 마포에서 자취생활을 하며 1년 5개월 여를 창전동 이랜드 기자실로 매일 출퇴근하며 이랜드맨들
과 한솥밥 친구처럼 친해지면서 느낀 이랜드 정신의 기록이다. 아울러 이랜드맨들의 세상을 향한 아
름다운 도전의 시간들을 기자의 눈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삶과 땀의 이랜드 탐방기이다.
참고문헌
없음
저작권 정보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씽크존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 침해신고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씽크존에서는 아래와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자료의 경우에 환불 처리를 진행해드리고 있습니다.
- 오류자료 : 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는 경우
- 중복자료 : 기간과 무관하게 같은 자료를 다운로드한 경우
- 유사자료 : 다운로드한 다른 자료와 내용과 구성이 동일한 경우(70% 이상)
- 불일치 자료 : 파일 제목 및 상세 내용과 다운로드 파일 내용이 다른 경우
- 공공자료 : 공익성을 목적으로 인터넷 공개되어 있는 자료와 동일한 경우
- 기타 자료 : 주요 환불정책에 해당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경우